인스턴스 생성
AWS 콘솔 화면에서 EC2를 검색한 후
[인스턴스] - [인스턴스 시작] 을 눌러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

이름은 구별 가능하게 자세히 입력하면 좋습니다.
클라우드의 OS는 인스턴스 생성 시 그때그때 인스톨하는게 아닌, 스냅샷을 복사해서 기동하는 형태입니다
AMI : Amazon Machine Image
Amazon Linux : Red Hat 계열의 리눅스와 유사합니다

인스턴스 유형
cpu와 메모리가 미리 정의되어 있는 형태
t2, t3, c5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한 알파벳이 붙음, 숫자는 cpu의 세대 수 (높을수록 좋습니다).
크기는 nano -> micro -> small -> medeum -> large ..... 등이 있습니다.

키 페어 로그인 설정
키 인증 방식으로, 키를 만들어야합니다

키 생성
키 페어를 생성하면, 로컬에 저장할 수 있도록 파일 형태로 키 파일을 다운 받습니다.(잘 갖고 있어야 합니다.)

프라이빗 키는 자물쇠, 퍼블릭 키는 열쇠라고 보면 됩니다.
네트워크 설정
- vpc라는 가상의 네트워크가 이미 세팅되어 있습니다. (전세계 공유하는 기본 vpc)
- 서브넷은 인터넷을 구분 시켜놓은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.
- 서브넷을 선택한다는 것은 해당 리전의 특정 지역(가용영역) 이라고 보면 됩니다.
- 예) 2a 선택하면 일산 데이터 센터에 인스턴스가 만들어집니다
- 가용영역에 따라 인스턴스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을수도, 없을수도 있습니다.
- 퍼플릭 IP를 활성화 해야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합니다.
- 보안그룹(sg, security group) 에서 방화벽 세팅이 가능합니다.
- 보안그룹 이름도 설정이 가능합니다.
- 기본적인 보안 그룹 규칙이 설정되어 있습니다.(SSH)


보안 그룹 추가
ping test는 '모든 ICMP-IPV4' 로 세팅하면 됩니다.

추가로 '고급 세부정보'에서 '사용자 데이터'항목에서
bash 스크립트 추가할 수 있습니다.
해당 작업은 root가 진행하기때문에 sudo 가 필요없음

이후, 인스턴스 생성 버튼을 클릭하면
EC2 인스턴스가 정상적으로 생성 됩니다.

'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WS] Access Key 발급 (0) | 2024.03.09 |
---|---|
[AWS] CloudShell로 키페어관리 및 SSH 접속 (0) | 2024.03.03 |
[AWS] AWS 기본 구조 (0) | 2024.02.26 |
[AWS] 프리티어 기간 얼마 남았는지 확인하는 방법 (0) | 2024.02.25 |
[AWS] 클라우드와 AWS의 특징 (0) | 2024.02.25 |